bigapple : 미국준비하고 오세요 - 30대 후반 남자분들 -1 [52] | |
12257| 2007-01-06 | 추천 : 4| 조회 : 17168 |
한국도 30대 후반 부터 남자들의 재취업 기회는 몇몇 전문직, 또는 우수한 경력이 있는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힘든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나이에는 애들교육및 가정살림에 돈이 많이 들어가는 시절입니다. 이때 동료 친구들은 더 나아가고 있는데 어떤 이유에서던지 사회에서 고립되신분들 또는 경쟁에서 소외되어가고 계신분들
미국으로 오십시요 . 영어가 우선이 아닙니다. 영어는 살기 위해 필요하지만 오셔서 부딪히면서 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준비 하고 오세요 무슨 준비냐 하면 직업을 가질 준비 입니다.
뉴욕 뉴저지 예를들면 한인 스몰 비지니스 수는 약 39,000 개 ( 2005 년 통계) 로 거의 서비스 업종입니다. 사업을 않하시면 직업을 갖어야 하는데 서비스업 특성상 나이든 사람을 종업원 으로 쓴 경우는 드물고 나이가 든 남자 종업원은 업주나 손님 들에게 편한 상대는 아닐꺼라고 생각 합니다. 더우기 말도 않되고 , 진짜 일할곳이 없습니다. 가장이 직업을 갖지 못하면 가정은 깨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통계로 본 큰 이혼 사유는 두가지 입니다 . 배후자의 부정 , 또는 금전 문제 라고 합니다 성격 차이라는 이름으로 이혼을 합니다 . 그주원인은 위에서 이야기한 2가지 에서 시작 됩니다.
전에는 성격이 같아서 같이 살지는 않았었지요 . 그것이 그렇게 큰문제가 아니었는데 먹고 사는 문제에 피곤하면 인생이 지겹고 무능한 배후자가 미워지고 야속해 집니다 .
그 무능한 배후자는 자기 무능한 자신을 잘못 느끼고 더 강성으로 식구 들을 대해 서로에게 상처를 입히고 이런것 들이 구타 , 폭력으로 나타나 결국은 혜어지고 남자들은 하루아침에 아무도 없게 되기도 합니다. 애들도 지긋지긋한 아빠에서 멀어져 가고 ...
혼자 남은 남자들은 생할비 적게 들고 그리 춥지 않은 지역으로 가게 되고 그곳에는 많은 나이든 싱글 한인남자분들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 또 그곳은 비도 자주와서 많은 자살률도 높은곳 이라고 합니다 미국 어느 도시 말입니다.
남자가 직업을 가지면 본인도 행복하고 가정도 행복해 질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힘들면 미국은 새롭게 시작할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런데 준비된 자들에게 기회가 있습니다.
어짜피 미국인 회사에 못들어 가면 여기 한인 비지니스 에서 일해야 한다면 여기서 필요로 하는 직업의 경력을 가지고 오시길 바랍니다.
여기서 필요로 하는 업종은 오늘은 음식을 만드는 요리사 ( 한식, 양식, 일식, 중식) 를 권해 드립니다.
이 직업 을 많이 하고 나이에 상관없이 고용될수 있고 구태어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되고 영어 못해도 됩니다. 또비자 스폰서 해 주는경우 많습니다. 경력 쌓아서 독랍해도 됩니다 . 이직업은 외국음식이므로 미국인은 못합니다. 일식인 경우 일본인이 한인 일식당에서는 일하지 않습니다 . 중식은 조선족이나 쓰는경우 있지만 한국식 중국식당도 한국사람 선호합니다. 양식은 미국인 식당에 일않하면 한인이 많이하는 델리 에서 일하시면 됩니다.' 델리도 어느정도 음식을 만들줄 알아야 합니다 일본인은 한인 일식당에서 일 않합니다. 여성분은 주방장으로 잘 않씁니다 . 젊은이들은 잘 않할려고 합니다. 경력만 좀 있으면 오자마자 아니 서울에서 잡 오퍼 해서 골라서 오실수도 있습니다. 주방장 자격증 꼭 필요 하지 않습니다. 학원에서 배우고 조금 일하다가 오세요 또 만약 혼자 살게 될경우 대비해서 요리는 이젠 남자는 꼭 배워야 할 아이템입니다. 매일 라면 만 먹고 사실순 없지 않습니까?
이런 이야기 누군가 해주어야 하는데
주변에 너무 많은 한인 남성분들이 힘들게 계시는것 같습니다 여기와서 잡을 얻기 위해 공부를 하고 그러기에는 너무 힘들것 입니다. 조금만 미리 준비하고 오세요. 정보 같지 않은 정보인데 .
플러싱에서 한인 택시를 한번 탄 기회가 있었는데 나이든 남자분 들의 이야기 를 들었습니다. 대부분 한인 콜 텍시를 하고 그수가 너무 많다고 .. 그래서 서로 간 더 힘들고... 경쟁도치열하고.....
아빠가 힘이 있어야 가족 모두 힘든 삶을 이겨나 갑니다. 인간 삶의 최소 구성 단위는 가정 입니다. 그 가정에 아버지가 튼튼한 기둥입니다.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 아버지의 성공은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
|